
방역당국이 이달 내에 전국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에 대한 방역실태 조사에 착수한다. 앞서 2주 간격으로 요양병원에서 진단검사를 실시하는 대책을 마련했지만, 최근 전국 각 지역에서 요양병원을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이 잇따르고 있어 원인 분석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윤태호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6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지금도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등에서는 확진자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해서 철저하게 대비하고 있지만 100% 다 지키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며 "관리를 재확인하기 위한 전수실태조사를 이달 중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올해 상반기와 10월 2차례에 걸쳐 요양병원 실태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이후 요양병원 입소자와 종사자에 대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선제적으로 실시하기로 하고, 현재 일정 간격으로 진단검사를 하고 있다.
수도권 소재 요양병원의 경우 2주, 비수도권의 경우 4주마다 선제적 진단검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최근 수도권과 부산과 울산, 전북 등에서 요양병원을 중심으로 한 집단감염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는 상황이다.
윤태호 반장은 "요양병원에 대한 선제적 검사 등으로 방역을 강화했지만, 지자체에서 검사를 잘 이행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면서 "가장 큰 이유는 검사 인력 부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의료인력들을 최대한 활용해서 검체 채취를 하고 검사를 할 수 있는 방안이 행정조치로 내려갈 예정"이라며 "병원과 시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비용은 무료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의사 인력의 부족 문제도 고려해 이동 검체 채취반을 가동하고, 검사주기를 수도권 1주, 비수도권 2주 단위로 줄여 검사를 강화하는 방안도 시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